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32

과천 주암지구 신혼희망타운(신희타) C-2 분양, C-2 분양가

과천 주암지구 신혼희망타운 C-2 단지가 2025년 8월에 분양한다. 1. 주암지구주암지구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지구 로서 신혼희망타운·행복주택 등 청년·신혼부부 위주의 공공지원 민간임대 주택 타운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분양가가 매우 저렴하다. 2. C-2단지 위치이번에 분양하는 C-2 단지는 아래에 위치해 있다. 초등학교는 1개 블록 옆에 생기며, 도보로 5분이면 갈 수 있을 거리로 보인다. 교통은 버스 노선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근처에 있는 우면동 서초힐스 아파트에서 선바위역이 10분, 양재시민의숲역이 12분 걸리니 참고하자. 지하철이 쟁점이다. 위례과천선이 우면동을 지날 것인지, 주암동을 지날 것인지 확실히 결정이 안 난 것으로 보인다. 3. C-2단지 청약 가능 조건-수도권 무주택세대구성원..

부동산/청약 2025.08.08

ISA, 연금저축펀드, IRP, 미국 직투, 최대한 절세하는 전략은?

내 금융 투자 소득에 대한 세금을 줄이는 절세 계좌들을 소개한다.총 4가지 계좌이며, 결론부터 먼저 표로 정리를 하고, 하나씩 자세히 설명하겠다. 연 납입금액세금 혜택전략연금저축펀드600만원총급여에 따라 세액 공제 (1년 단위)5500만원 이하: 16.5% (148.5만)5500만원 초과: 13.2% (118.8만)연금저축펀드 600만원, IRP 210만원은 S&P500 추종 ETF 매수IRP 90만원은 TDF2050 매수IRP300만원ISA2000만원 까지최소 3년 유지 필요, 5년까지 보유 가능해지 시 비과세 200만원, 초과분 분리과세 9.9%1순위: 미국추종 ETF(S&P, Nasdaq, 다우존스)2순위: 국내 배당형 주식/ETF미국 직접투자넣고싶은 만큼1년에 250만원 비과세1년에 비과세 25..

주식 2025.08.06

과천 장군마을 디에이치 아델스타 분양, 분양가

과천 장군마을 재개발인 디에이치 아델스타가 곧 분양을 한다.자세한 내용은 첨부의 입주자모집공고를 보면 된다. 1. 위치양재IC 바로 옆이기 때문에 자가용 교통 환경이 우수하다. 양재 코스트코 바로 옆이며, 주변엔 삼성전자, LG전자 R&D캠퍼스가 있다.하지만 실거주 환경(아이를 키우기 좋고, 지하철을 타고 서울 시내로 출퇴근 하는 등)의 인프라는 좀 부족해 보인다.초등학교는 1.5km이며, 걸어서 23분이 걸린다. 양재시민의숲역 까지는 1km이며, 걸어서 15분이 걸린다. 2. 청약일정특별공급: 2025년 8월 25일 (월)1순위: 2025년 8월 26일 (화) - 과천시 1년 이상 거주자2순위: 2025년 8월 27일 (수) - 과천시 1년 미만, 서울시, 경기도 거주자당첨자 발표일: 2025년 9월 ..

부동산/청약 2025.08.05

삼성전자 테슬라 파운드리 수주 이유, 삼전 주가 는?

삼성전자가 7.28일 파운드리 대형 수주를 하며, 6.83%(4500원) 급등한 70400원으로 장을 마쳤다.현재 8.3일은, 세제 개편안의 여파로 68900원으로 떨어졌지만 말이다. 이번 수주는 22조에 달하는 대형 계약이다. 다만, 8년간 진행되기 때문에 연평균으로 나누면 3조원 정도가 된다. 이 계약의 의미가 무엇이고, 향후 실적은 어떻게 될 것인가?테슬라는 왜 삼성전자와 계약을 했을까? 등등을 알아보자. 1. 이번 계약은 파운드리 수주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삼성전자는 크게 세트 부문(스마트폰 등)과 반도체 부문으로 나뉘어져 있다.반도체 부문은 크게 메모리, 파운드리(위탁생산) System LSI(설계) 로 나뉘어 진다.실제로 고부가가치, 즉 영업이익률이 높아질 수 있는 사업은 반도체이다.과거에..

주식 2025.08.04

꿈비 3세대 올인원 젖병세척기 후기 (내돈내산, 광고X)

올해 첫 애가 생겨서 꿈비 3세대 올인원 젖병세척기를 선물 받았다.그래서 2달 간 쓰다가 가감없는 솔직한 후기를 남긴다. 세척+70도 스팀+건조+UV살균 까지 "올인원"으로 한다고 해서 기대를 했다.육아로 바쁠텐데 열탕 소독까지 한 번에 해 주다니?! 사용 방법은 이렇다.1. 세척기에 정수물을 넣어준다.세척기를 돌리기 위해서는 물 4L 정도가 필요하다.아래 사진의 급수 뚜껑을 열고 물을 부으면 된다. 물을 따를 수 있는 플라스틱 물통도 같이 준다. 2. 젖병을 넣어준다.울타리 프레임과, 젖병 거치대는 서로 분리 가능 하다. 젖병 거치대에는 4개의 젖병, 젖꼭지, 젖병 컵을 놓을 수 있다. 그 이상 하려면 젖병 거치대를 아예 빼야 한다. 3. 모드를 선택한다.표준(1시간 정도), 강력(1시간 30분 정도..

살다가... 2025.08.03

부동산 vs 주식 양도세, 뭐가 세금 더 낼까? (Feat. 정치인, 고위 공무원이 부동산 하는 이유)

주변에서 부동산으로 돈 벌었다는 말은 많이 들었어도, 주식(특히 한국 주식)으로 돈 벌었다는 말은 잘 못 들어봤을 것이다. 왜 한국은 부동산이 1순위 투자 대상인 걸까? 결론부터 얘기하겠다. 오래 보유하고 양도차익이 클 수록 1주택 양도세에서 이득을 보기 때문이다. 세금을 매기는 종합소득세율은 절대 낮지가 않다.하지만 "장기보유 특별공제"와 "과세대상 양도차익" 을 계산하면서 양도차익을 엄청나게 줄여 버리기 때문에 세율이 적용되는 과세표준이 엄청나게 낮아지게 된다. 1. 1주택 실거주의 양도세1.1. 12억 미만 비과세2년 이상 거주한 12억 미만의 주택 양도가액에 대해서는 전액 비과세이다. 예를 들면, 지금 5억에 집을 사고, 2년 뒤에 12억에 팔아도 양도세는 0원이라는 것이다. 1.2. 과세대상 양..

주식 2025.08.02

주식 떨어지는 이유, 배당소득 분리과세 미래는?

이재명 정부는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겠다고 하며 부동산이 아니라 주식시장을 키우겠다고 했다.즉, 주식시장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부동산에 쏠려있는 자산이 주식으로 머니무브가 일어나게 해서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구상이었다. 그런데 2025.08.01 오늘, 정부의 2025년 세제 개편안에 대한 실망 때문에 그동안 올랐던 주식들이 쭉 빠지고 있다.그 중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이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다. 당선 직후, 이재명 대통령은 증권거래소를 방문하여 이소영 의원의 배당소득 분리과세 법안을 언급하였다.그런데, 정부의 세제 개편안을 보면, 그것보다 훨씬 후퇴하였다.한번 비교해 보자. 이소영 의원 법안정부 세제 개편안법안 유형소득세법 개정안 (영구 적용)세제개편안 (2026년~2028년 한시 적용)대상..

주식 2025.08.01

ETF 펀드별 보수비용비교 (총 보수) 확인 방법, 증권사 광고에 속지 말자

미국 3대지수(S&P500, Nasdaq, DOW)를 추종하는 국내상장 ETF를 사려고 찾아본 사람들은 아마 아래와 같은 광고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증권사들은 총보수가 0.00xx%로 낮다고 광고하지만, 실제 우리가 부담하는 총비용은 그것보다 훨씬 높다. 결론부터, 2025.07.31일 기준으로 인기있는 국내상장 S&P500 추종 ETF들의 총 보수는 아래와 같다.ETF 이름증권사총 보수(각 증권사 홈페이지)총 비용(금융투자협회 펀드별 보수비용비교)TIGER 미국S&P500 (360750)미래에셋증권0.0068%0.1214% (최저비용)KODEX 미국S&P500 (379800)삼성증권0.0062%0.1621%ACE 미국S&P500 (360200)한국투자증권 0.0047% (최저비용)0.173..

주식 2025.08.01

진성준 재산, 주식에 세금 더 걷으려는 이유?

지금 민주당에서 주식시장에 찬물을 끼얹고 있는 대표적인 사람이 진성준 국회의원이다.이름진성준학력전북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85학번)직업국회의원 (3선, 서울 강서구 을)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장 2024년에 금융투자소득세(이하 금투세)를 민주당에서 강력하게 주장했던 사람이 바로 진성준 의원이다.*금융투자소득세: 국내 주식 양도차익이 5000만원이 넘으면 걷으려고 했던 세금 우여곡절 끝에 금투세는 폐지됐지만, 진성준 의원은 엄청나게 욕을 먹었다. 현재 2025년, 이재명 정부의 코스피 5000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도 진성준 의원이다.쟁점은 2가지다. 대주주 요건 강화일반 사람들은 국내 주식으로 매매차익을 남겨도 세금이 0원이다. 하지만, 대주주 조건에 해당되면 양도세를 ..

주식 2025.07.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