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32

Constantly 와 Consistently 비교

정말 자주 쓰이는 단어지만, 발음도 어렵고, 사용 방법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용법도 너무 다양하다. 기본적인 의미와 활용을 알아보자. 1. Constant(ly) 계속, 수시로, 끊임없이. 단어로 치환하기보다는 문맥과 뉘앙스를 봐야 한다. The forecast is kind of meaningless in that country because the weather is constantly changing. 그녀는 수시로 지각해요. >> She is constantly late to work. 우리는 수시로 다퉈요. >> We constantly have arguments. 2. Consistent(ly) 꾸준히, 일정하게(규칙적인 양으로) Regulary(시간)와 비슷하지만 좀 더 포괄적인(시간, 정..

How about? 과 What about? 비교

결론부터 말하면 What about this? 만 쓰고도 살 수가 있다. How about this?는 전혀 말하지 않아도 된다. 즉, What about은 How about을 대체할 수 있지만, 반대는 불가능하다. 1. 무언가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제안 How about과 What about을 다 쓸 수 있다. (누군가가 SD카드를 찾고 있을 때) 이 SD카드 어때? (구직 자리를 구하고 있을 때) 난 어때? 2. 어떤 솔루션을 요구하는 상황 What about만 쓸 수 있다. (일을 하고 있는데 한 사람이 이직을 해버리는 경우) 난 어떡해? >> What about me? (세 친구가 모이기로 했는데 Bryan만 안 온 상태에서 다음 장소 갈 경우) Bryan은 어떡해? >> What about b..

I like to 부정사 vs I like 동명사 ing 비교, 차이점

난 일찍 일어나는 것을 좋아해. >> I like getting up early in the morning. //행동의 순간, 경험 자체를 강조 >> I like to get up early in the morning. //행동의 결과, 효과에 대한 얘기를 강조 + 그래서 그렇게 자주 하곤 한다. 원어민들은 ing와 to 부정사를 반반 섞어서 쓴다. 과정과 결과 사이의 명확한 경계를 두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2개가 의미의 차이가 있진 않기 때문에 너무 신경 쓸 필요는 없다. 다만, 말하는 순간에 강조하고 싶은 것으로 선택하여 말하면 된다. 난 초과근무 하는 것을 좋아해. >> I like to work overtime. // 결과, 효과. 초과근무를 함으로써 그 결과인 초과근무수당이 좋은 것. >> ..

최근에 영어로, recently, lately, these days, nowadays, currently

Lately라는 말을 '최근에' 라고 알고만 쓰면 틀리게 쓸 가능성이 높다. 친구 중 하나가 최근에 애기를 낳았어요. >> A friend of mine had a baby lately. (X) 1. Lately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반복적인 일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한다. 앞으로 있을 지는 장담 못 한다. 즉, lately는 '최근에' 보다도 '요새' 라고 쓰는게 더 알맞다. 반대로 얘기해서, '요새'로 쓸 수 없으면 recently를 써야 한다. The air pollution has gotten really bad lately. >> 최근에(요새) 공해가 엄청 심해졌어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일이기 때문에 현재완료를 쓰는 것 Lately, I've been having (really) str..

했으면 좋겠다 영어로, I wish I could 와 I hope I can 의 구분

아래 2개를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구별하는지 이해를 해 보자. 1. I wish I could 실제로 못 한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그럴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마음. 그래서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여기서 can이 아니라 과거인 could를 사용하는 것이다. 가정법과 같은 성격이다. I wish I could just quit my job and (just) travel for the rest of my life. >> 그냥 일을 때려치고 평생 여행이나 했으면 좋겠다. (현실적으로 이루어 질 수 없다는 걸 알면서 말함) I wish I could be like you. >> 나도 너처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친구만 아침에 잘 일어나는 경우) Do가 아니라 be를 쓰는 이유는, 특정 행동을 한다기보단 ..

영향 주다 영어로, Influence, Affect, Have an effect on, Impact

Influence / affect / effect / impact 이 4개의 단어를 가지고 영향에 대한 표현을 한다. 직접적인 영향인지, 간접적인 영향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1. Influence (간접적인 영향) 동사이자 명사이며, 수동태로 많이 쓴다. 일반동사로 써도 틀린 건 아니다. 예를 들어, 어떤 뮤지션이 다른 뮤지션에게 영향을 받은 경우는 간접적일 것이다. She was influenced by a lot of other musicians. >> 그녀는 다른 많은 뮤지션들에게서 영향을 받았어요. A lot of other musicians influenced her (music). >> 다른 많은 뮤지션들이 그녀에게 영향을 주었어요. 일반동사 형태가 틀린 건 아니다. 명사로 사용하여, "Hav..

기회 영어로, Opportunity, Chance, Get to

1. 흔하지 않은 기회야 / 흔치 않은 기회잖아 / 흔한 기회가 아니야 It's rare opportunity(chance). It's not an everyday opportunity. >> 매일 있는 기회가 아니다 We don't get a chance(opportunity) like this every day. >> 우리가 이런 기회를 늘 얻지는 못한다. We don't often get a chance like this. >> often을 써서 부드럽게 2. (~문장), (근데) 그럴 기회가 없었어. I didn't get a chance to (do that). >> do that은 중복 표현이므로 안 해도 됨 During my business trip, I really wanted to do ..

알다 / 모르다 영어로, Be aware of, Be familiar with, Find out

아래의 A와 B의 대화로 "알다/모르다"의 여러가지 뉘앙스를 알아보자. A: 늦어서 죄송하지만 저는 회의 일정이 조정된 줄 몰랐어요. I'm sorry I'm late, but I wasn't aware (that) the meeting had been rescheduled. >> I didn't know 라고 해도 충분하나, 이것은 지식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 I wasn't aware 라고 하면 인식하지 못한 것. 즉, 어떤 정보가 내게 오지 않아서 몰랐다는 것을 내포한다. 사무실에 도착하고 방금 알았어요. A: I found out just now when I got to the office. >> 어떤 정보나 사실을 몰랐던 상태에서 알게 되는 상태로 바뀔 때, find out을 쓴다. B: 괜..

가다, 오다 영어로, be 동사로 표현하는 방법

가다와 오다는 go와 come으로 쓰는 게 일반적이지만, 때론 be 동사를 써야 의미전달이 되며 어색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1. 어디에 '가본', '와본' 경험에 대해서 말할 때 너 거기 가 봤어? >> Have you been there? 아니 안 가봤어. >> No I haven't (been there). 아니 한 번도 안 가봤어.(강조) >> No, I've never been there. 여기 낯이 익어, 나 여기 와 본 적 있는 것 같아. >> This place looks really familiar, I think I've been here before. 2. 언제(까지) 어디에 "도착하다"는 의미로 말하는 '가다'와 '오다' Arrive나 get (to) 를 써도 된다. 하지만 be 동..

알다 영어로 여러가지 뉘앙스 연습, Notice, realize, recognize, tell, figure

우리말을 영어로 옮기다 보면, 추가적인 표현들이 들어가야 자연스러워 지는 경우가 많다. 알다의 9가지 유형과 연관되어 다음 말을 번역해보자. A: 며칠 전에 서점에 갔는데 어떤 여자가 사람들에게 막 둘러쌓여 있는거야. >> The other day, I was at the bookstore and I noticed(외부를 보고 무언가를 알아차리다) (there was) a woman surrounded by a large crowd. A: 무슨 상황이었는지 잘 몰라서 처음에는 그냥 직원 하나가 무료로 뭐 나눠주고 있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 It was hard to tell(판단하기 어려워서, 잘 모르겠어서) what was going on. So, at first, I (just) figured(조건..

반응형